【최종수정시각】 2025. 06. 16. 16:49
목차
14 서비스 기획서 작성하기
14.10 정보구조(information architecture, IA)
- IA 설계 개요
- 본격적인 설계 착수에 앞서 현황 분석에서 발견한 문제점들을 정리한다.
- 개선점을 포함한 목적과 방향을 설정한다.
- 벤치마킹을 통해 타사들의 IA를 참고한다.
- 서비스의 전략과 방향에 어긋나지 않게 설계한다.
- 서비스 용어의 정의와 운영 프로세스 구조도 포함한다.
- 현 IA 중 중복됐거나 불필요한 정보를 조정한다.
- IA 설계 상세 (표 형태로 작성함을 가정)
- 유일한 정답은 없다. (기업마다 조직마다 설계 방식이 조금씩 상이할 수 없다.)
- 번호(인덱스), 1-뎁스, ···, n-뎁스, 화면 ID, 페이지, 유형, 상세 설명 등의 열로 구성된다.
- 일반적으로는 화면의 흐름을 따라 뎁스(depth, 깊이) 수준이 결정된다.
- 그러나 항상 UI의 위치대로 뎁스 수가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.
예 1) '로그인'의 뎁스 수가 1이고, '로그인' 화면에서 [회원가입] 버튼과 [비회원 주문조회] 버튼이 있다고 가정하자. 이때, '회원가입'과 '비회원 주문조회'의 뎁스 수는 '로그인'처럼 1이다. 왜냐하면 (비록 연관성은 있으나) 서로를 포함하지 않는 동등한 수준의 정보이기 때문이다. 상기 두 버튼은 그저 빠른 이동을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할 뿐이다.
예 2) 게시글 그룹핑 혹은 필터링을 수행하는 버튼은 IA에 기재할 하나의 정보 인스턴스가 아니다.
예 3) (보통 화면 우상단에 있는) 각종 언어 변경 버튼은 IA에 기재할 하나의 정보 인스턴스가 아니다.
예 4) [라이트 모드], [시스템 모드], [다크 모드] 버튼은 IA에 기재할 하나의 정보 인스턴스가 아니다. - 화면 ID 명명법에 왕도는 없다.
- 하지만 이왕이면 정보의 흐름을 담아서 화면 ID를 명명하는 것이 좋다.
- 추후 수정을 대비해 화면 ID 번호를 일부러 넉넉하게 비워두는 것이 좋다.
- '상세 설명' 내 모든 칸을 채울 필요는 없다. (말 그대로 상세한 설명이 필요할 때만 채워도 무방하다.)
14.11 사용자 프로세스(user process)
* 혹자는 사용자 프로세스와 순서도를 묶어서 서비스 프로세스라 부르기도 한다.
* 혹자는 서비스 기획서가 굳이 사용자 프로세스까지 포함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기도 한다.
- 사용자 프로세스 개요
-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는 과정을 뜻한다.
- IA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흐름을 정의한다.
- 데이터의 이동, 저장, 호출 프로세스도 포함한다
- 사용자 시나리오보다 좀 더 구체적이다.
- UI(화면), 행동, 판단 등으로 표현한다.
- 사용자 프로세스를 일정한 형칙으로 도식화한 것이 바로 사용자 순서도(user flowchart)이다.
- 사용자 프로세스의 순기능
- 서비스와 각 페이지의 주요 흐름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다.
-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.
예) 사용자 프로세스 설계 업무를 수행하면서 미처 고려하지 못했던 것과 불필요한 것을 발견하기도 한다. - 개선이 필요한 영역이 명확하게 드러난다.
- 여러 직무의 실무자들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매개체로 작용한다.
14.12 와이어프레임(wireframe)
* 엄밀하게 따지면, 와이어프레임, 스토리보드, 프로토타입은 서로 다른 개념이다.
* 그러나 오늘날 현업에서는 명칭을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꽤 있다. (화면 설계서나 화면 정의서라 부르는 사람도 있다.)
- 와이어프레임이란
- UI(화면)를 어떻게 표현할지를 그려 놓은 화면의 프로토타입
- 웹페이지, 앱페이지의 화면을 페이지 구조, 레이아웃, IA, 사용자 흐름, 기능, 의도된 동작들이 포함된다.
- 와이어프레임 설계 시 주요 고려 사항
- 왜(Why)
- 목표(Goal)
- 무엇(What)
- 컨셉(Concept)
※ 이 글은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.
'제품관리 > 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] 13주차 - 18~22장 카카오·오늘의집·야놀자(NOL) 재직자의 서비스 기획 사례 (1) | 2025.07.02 |
---|---|
[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] 12주차 - 17장 중간 점검: 고객 경험을 만드는 PM 전략 (1) | 2025.06.21 |
[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] 10주차 - 14장 서비스 기획서 작성하기 전반부 (1) | 2025.06.10 |
[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] 9주차 - 13장 프로젝트 이해하기 (4) | 2025.06.07 |
[제로베이스 PM 파트타임 스쿨] 8주차 - 11장 개발자와 디자이너와 협업하는 방법 | (0) | 2025.05.25 |